목록분류 전체보기 (53)
HBlog
1. package.json - 개념: node.js에서 설치한 모듈 정보 저장 https://phsun102.tistory.com/28#:~:text=package.json%EC%9D%B4%EB%9E%80%20%ED%98%84%EC%9E%AC%20%ED%94%84%EB%A1%9C%EC%A0%9D%ED%8A%B8,%EC%9D%84%20%EA%B4%80%EB%A6%AC%ED%95%98%EB%8A%94%20%ED%8C%8C%EC%9D%BC%EC%9D%B4%EB%8B%A4.&text=%EC%9D%B4%EB%A6%84%EC%B2%98%EB%9F%BC%20JSON%20%ED%8F%AC%EB%A7%B7%EC%9C%BC%EB%A1%9C%20%EC%9D%B4%EB%A3%A8%EC%96%B4%EC%A0%B8%20%EC%..
FrontController - 프론트 컨트롤러 서블릿 하나로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음 - 프론트 컨트롤러만 서블릿 사용! V1 - FrontController: 각 Controller의 url을 명시하여 Map으로 만듦 - viewpath를 절대적으로 명시 - dispatcher.forward(request, response) 명시 V2 - Controller: MyView(viewpath에 맞게 dispatch.forward 처리) 객체 반환 - FrontController: V3 1. 서블릿 종속성 제거 - ModelView: Model을 직접 만들고 View의 이름 전달 2. 뷰 이름 종속성 제거 - 뷰의 논리이름만 반환 V4 - ModelView 반환 대신 ViewName만 반환 - Model을..
18: 알고리즘 정의: 연산의 의미와 수행방법에 의심의 여지가 없을 정도로 상세하고 정확하게 일련의 연산을 명시해야 함 -효율성: 데이터 양에 따라 계산에 소요되는 시간을 표현하는 방법 19: 선형시간 선형시간(선형): 계산된 시간이 데이터의 양에 정비례 20 -이진검색: 절반씩 쪼개서 검색하는 방법 log2N(N이 검색해야할 항목 수) -이진검색의 장점: 데이터의 양의 증가보다 수행해야할일의 증가가 느리게 증가

web.xml error 잘 쓰이던 boot프로젝트 web.xml파일에서 error가 떴다. Multiple annotations found at this line: 1. Attribute: version is required in element: web-app 2. Code: cvc-complex-type.4: Attribute 'version' must appear on element 해결: https://kmhan.tistory.com/699
한글변환 https://qjadud22.tistory.com/10 이클립스에서 Gradle사용 https://kku-jun.tistory.com/12
저번에 이어서 작업을 하려는데..갑자기 인테리제이와 jdk가 연결이 안되었다. 알고보니 jdk가 너무 많아서 버전 충돌이 일어난것. jdk를 모두 삭제 → 재부팅 → jdk모두 삭제되었는지 확인 → jdk11버전을 다운 받음 그랬더니 이번에는 서버문제가 터짐.. https://www.inflearn.com/questions/172527 https://www.inflearn.com/questions/176890 를 보고 해결했다. 약 4시간에 걸친…사투를 끝냈다…ㅠㅠㅠㅠㅠㅠ

문제상황1: JDK오류 → 이런식의 에러메시지 해결: JDK추가로 다운하고, PATH연결까지 완료 Implementation 'org.springframework.boot:spring-boot-starter-web'를 grable dependencies에 추가 문제상황2: PORT중복 해결1: CMD창에서 8080 kill을 시도했으나, 실패 해결2: 작업관리자에서 oracle중지시키니 실행
템플릿 엔진 사용전: Servlet에서 html을 반복문으로 다루고 화면단으로 html을 보냄 템플릿 엔진(jsp, jstl) 사용 후: html에 적용 redirect: 클라이언트에게 응답이 나갔다가, 클라이언트가 redirect경로로 다시 요청(클라이언트 인지 가능, url 경로 변경) forward: 다수의 Controller에서 처리하던 반복된 로직 Front Controller에서 처리 Servlet(request, response)처리 viewpath: /WEB-INF~~ 부분 처리 내부에서 호출하는 것이기에 클라이언트가 인지 못함